top of page

온전한 강습에 대하여




소책자 크기의 네모난 플라스틱 판에는 깨알만 한 숫자들이 앞뒤로 빼곡히 나열되어 있다. ​스쿠버다이빙을 근래에 시작한 다이버라면 잠수 계획표(RDP)에 대해 잘 모를 수 있다. 이것의 용도는 인체가 수중에서 압력을 받을 때 흡수되는 질소의 영향과, 이로 인한 무정지 다이빙을 계획하기 위한 것이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PADI의 초급 과정에서는 이 잠수 계획표 사용법을 소개해야만 했다. 지금은, 강습에 다이브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RDP 사용법은 옵션으로 적용된다.

잠수 계획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를 보는 방법과 몇 가지 수리 계산식을 알아야 한다. 나의 강습 경험으로 비춰 보자면, 단 한 번의 설명을 듣고 바로 이해하여 예문을 푸는 강습생은 드물었다. 강습의 참여는 불과 열 살이 된 아이부터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까지 남녀노소 다양하다. 나는 강습에 임하는 모두에게 이 계산식을 이해시키기 위한 쉬운 방법을 찾고자 부단히 고심해야 했다. 고백하건대, 개중에는 강습을 마쳐야만 하는 날까지도 끝내 이해하지 못 한 강습생도 있었다.



PADI의 초급 과정인 오픈워터 다이버 코스에서 다루는 기술 중에는, '발이 닿지 않는 깊은 수심의 수면 위에서 스쿠버 키트를 벗고 다시 착용하기'라는 것이 있다. 다이빙을 진행하는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수면 위에서도 손쉽게 장비를 입고 벗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 기술은 대부분의 강습생들이 실행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 중에 하나다.

이 기술을 매끄럽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수면 위에서 균형을 잘 유지한 채로 스쿠버 키트를 요령 있게 다뤄야 한다. 하지만, 출렁이는 물 위에 떠서, 공기주머니를 부여잡고, 균형을 흐트러짐 없이 유지한 채, 장비를 착용하기란 쉽지 않다. 특출난 균형 감각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 강습생들 대개는 기번의 시행착오와 연습을 겪은 후에야 비로소 실행하곤 한다. 개중에는 많은 시간을 할애했음에도 결국 강사의 도움 없이는 실행하지 못 한 강습생도 있었다.


PADI의 단계별 기본 과정에는 나침반을 이용한 수중 항법 실행이 있다. 초급과정에서 중급, 고급 과정으로 진행될수록 그 사용법이 응용되어, 간단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형태로 점점 발전한다. 오픈워터 과정에서는 기초적인 직선 항법을 소개하고 어드밴스드 과정에서는 사각 패턴 항법이, 그리고 수색과 인양이나 레스큐 다이버 과정에서는 이를 모두 응용한 여러 가지 패턴 항법을 실행해야 한다.

나침반을 배워본 적이 없는 다이버에게 패턴 항법을 소개하기 위해서는 원점으로 돌아가 직선 항법부터 알려줘야 했다. 개중에는 나침반 사용법을 이해시키기 위해 반복되는 설명과 꾀나 긴 연습이 필요할 때도 있었다. 이에도 고백하건대, 강습을 마쳐야 하는 날까지 끝내 이해하지 못했던 강습생도 있었다.



사람들은 저마다 가진 능력과 행동 양식이 다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쿠버다이빙을 강습하다 보면 강습생들의 많은 면면을 알 수 있다. 이에는 지적 능력과 운동 능력, 그리고 성격과 마음가짐까지도 포함된다. 강습을 매끄럽게 운용해 나가기 위해서는 강습생의 상태를 명확히 알아야 한다. 이런 이유로, 강습을 시작하기 전 강사의 직접적인 오리엔테이션은 중요하다.

강습을 진행할 강사는 강습생과의 첫 대면은 물론, 서류 작성부터 함께 하는 것이 좋다. 진행할 내용들을 소개해 나가면서 강습생의 면면을 최대한 파악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런 후에, 어떤 방식으로 강습을 이끌어 갈 것인지를 구상하고 강습생과 함께 논의한다. 첫 대면에서 강습생의 모든 면을 확인할 수는 없으므로, 강습을 진행해 나가면서 차차 알아가고 그에 맞게 조정하여 진행한다.


한 그룹에 너무 많은 인원의 참여는 개개의 면면에 맞춘 강습은 기대하기 어렵다. 강사의 눈은 단 둘뿐인데, 살펴봐야 할 게 너무 많다면 뭉뚱그려 전체를 바라볼 수밖에 없다. 강사는 공장에서 물건 찍듯 획일적인 방식으로 진행하고 시간에 쫓겨 어물쩍 넘어가고 만다. 한 그룹에 참여 인원이 많을수록 과정을 수료하기 위한 커트라인 점수에 수렴한다. 어찌어찌 강습은 진행이 되고, 무엇을 제대로 배우지 못했는지 알지 못한 채, 다이버가 되는 것이다.

하나의 수업에 인원을 최대한 많이 참여시키는 것은 강사의 주머니 사정 면에서는 좋을 수도 있다. 강습생 또한 보다 저렴한 값을 지불하고 팀원과 은근슬쩍 묻어가다 손쉽게 과정을 수료할 수도 있다. 나의 강습 경험으로 비춰 보건대, 잘 배운 강습생은 그렇지 못했던 강습생보다 다음 과정과 다이빙 여행에 더 관심을 갖는다. ​공들이지 않은 탑은 높이 쌓을 수 없고, 설령 쌓았다 하더라도 오래가지 못한다. ​비용을 조금 아껴 덜 배울 것인가, 온전하게 지불하고 제대로 배울 것인가는 강습생의 선택에 달려있다.


강습의 적정 인원은 강습을 진행할 환경과 조건, 그리고 강사와 강습생의 경험치와 능력치를 추가하여 고려해야 한다. 계획하는 시간 내에 강사가 제공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습생 모두에게 충분히 전달이 가능한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즉각적이고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가. 팀 간에 협동이 이루어지고 서로 의지가 되며 배울 점이 있는가. 무엇보다도 팀원 모두를 강사가 통제 가능한가.

강사에게 묻는다. 그대의 강습엔 몇 명이 적당한가...

강습생에게 묻는다. 그대는 몇 점짜리 강습을 원하는가...














- PADI Course Director

- PADI Specialty Instructor Trainer

- EFR Instructor Trainer

- 1400+ PADI Certifications Issued since 2002

- 4500+ Dive Log since 2001


- 2018 서울 제로그래비티

- 2013 서울 엔비다이버스

- 2013 코타키나발루 CDTC 졸업

- 2010 태국 꼬따오 아시아다이버스

- 2008 태국 꼬따오 플래닛스쿠바

- 2004 태국 꼬따오 코랄그랜드

- 2003 호주 케언즈 3D어드벤쳐스

- 2002 태국 푸켓 다이브아시아

- 2002 PADI 인스트럭터 #471381

- 2001 PADI 다이브마스터

- 2001 PADI 다이버



조회수 2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